[문화·예술][게임] 차원의 틈새 오메가: 시그마편 2 ( 21 판 )
차원의 틈새 오메가: 시그마편 2 - 피험세계 시그마 V2.0
Interdimensional Rift: Omega - Sigmascape V2.0
파이널 판타지 14의 두 번째 확장팩, 홍련의 해방자에 등장하는 8인 레이드인 '차원의 틈새 오메가' 시리즈의 두 번째 티어인 '시그마편'의 두 번째 인스턴스 던전, '피험세계 시그마 V2.0'에 대한 설명글.
상위 항목: 파이널 판타지 14/인스턴스 던전
파이널 판타지 14: 8인 레이드 | |||||||||||
대미궁 바하무트 | |||||||||||
해후편 (First Coil) | 침공편 (Second Coil) | 진성편 (Final Coil) | |||||||||
1 | 2 | 3, 4 | 5 | 1 | 2 | 3 | 4 | 1 | 2 | 3 | 4 |
기공성 알렉산더 | |||||||||||
기동편 (Gordius) | 율동편 (Midas) | 천동편 (The Creator) |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차원의 틈새 오메가 | |||||||||||
델타편 (Deltascape) | 시그마편 (Sigmascape) | 알파편 (Alphascape) | |||||||||
1 | 2 | 3 | 4 | 1 | 2 | 3 | 4 | 1 | 2 | 3 | 4 |
1. 개요
시드와 네로의 분석에 의하면 다음 사악한 상대의 이름은 '차다르누크'. 유령들린 열차라는 이상한 적을 상대한 것으로도 모자라 이번에는 악령이 깃든 명화와 전투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갈론드 일행의 천재적인 발상 덕에 '초코보 붓'이라는 장비를 지참하여 이 기묘한 전투에 뛰어들게 된다.
- 차원의 틈새 오메가: 시그마편 2 (영문판) 소개글
'홍련의 해방자'의 8인 레이드 시리즈인 '차원의 틈새: 오메가' 시리즈의 여섯 번째 레이드 던전이자 '시그마편'의 두 번째 레이드 던전.
무사히 '열차'와의 싸움을 마친 모험가는 시드에게 다음 상대에 대한 정보를 듣는다. 다음 상대는 '차다르누크'라고 불리는 그림에 깃든 악령. '열차'에 이어 '그림'이라는 기묘한 적을 상대하기 위해, 네로는 그림을 구현화하는 물건인 '초코보 붓'을 만들어 모험가에게 건넨다. 부하가 열심히 일하면 주전자에 물이라도 채워넣으라며 시드에게 틱틱대는 네로를 뒤로 하고, 모험가는 다음 상대를 맞이하러 가기로 한다. 한 편, 알파는 주전자 아래에 물의 그림이 그려진 카드를 놓아두고선 앞장서겠다며 피험세계로 발을 옮긴다.
V2.0의 보스는 명화에 깃든 유령인 '차다르누크(Chadarnook)'. 본편에서는 하우케타 저택에서 전투를 진행하며, 삼투신 중 하나인 '여신'을 본따 그렸던 명화에 악령이 깃들어버린 바람에 전투를 진행하게 된다. 피험세계 시그마 V2.0에서는 여신의 형태를 띈 '차다르누크 여신'과 악령의 형태를 띈 '차다르누크 악령'응 상대하게 된다. '여신'은 타겟팅 불가이며 평타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대하게 되는 것은 '악령'. '차다르누크 악령'은 '그림 빙의'라는 패턴을 사용하며, 미술관에 전시된 4개의 그림들 중 하나에 빙의하여 강력한 속성 공격을 사용한다. 여기에 대처하기 위해, 전용 액션인 '초코보 붓'을 적절한 그림 위에서 사용하여 기믹에 대처하게 된다.
보스가 그림 사이를 뛰어다녀서 근접 딜러 클래스는 생각보다 짜증날 수 있는 레이드. 대신 보스의 후/측 방향 판정은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안심하고 기믹 처리에 집중하자. 영웅 난이도의 경우 '차다르누크 악령' 뿐만 아니라 '차다르누크 여신'도 '그림 빙의'를 사용하여 패턴이 더 정교해졌으며, 모든 스케치에 '물감'이 추가되어 올바른 색상의 물감을 사용해야만 스케치 효과가 발동되도록 바뀌어서 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패턴의 랜덤성은 거의 없는것에 가까워서 이런 점에서는 오히려 시그마 영식 1층보다 수월하다는 평도 있는 편.
피험세계 시그마 전투의 전용 BGM은 파이널 판타지 14 어레인지 버전의 '결전(Decisive Battle)'.
※ 본 항목은 글로벌 서버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용어를 번역했으며, 공식 업데이트와 함께 용어를 수정할 예정.
2. 일반 난이도
사용기술 및 기본 전략
차다르누크(Chadarnook)
[네로]
큭큭, 멋진 화실인데...재미있는 물건이 많이 있는 것 같지?
너도 「초코보 붓」으로 마음껏 즐기라고!
일단 인스턴스에 돌입하면 사각형 전장 모서리에 대지 그림(2시), 불꽃 그림(5시), 바람 그림(8시), 물 그림(10시)이 걸려있으며, 그 앞 바닥에 스케치가 하나씩 놓여있다.
에어포스 스케치(2시)는 '초코보 붓'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잠시 동안 에어포스 탈것에 올라타며, 지면 대상 공격에 면역이 된다. 물 스케치(5시)는 '초코보 붓'을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화염 내성 버프를 걸어준다. 티폰 스케치(8시)는 '초코보 붓'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티폰에 탑승하며, 전용 액션인 '콧김'으로 물건을 밀쳐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위 스케치(10시)는 '초코보 붓'을 사용하면 커다란 바위가 스케치 위치에 나타나게 된다. 이 스케치들은 '초코보 붓'을 적절히 사용해 이후 설명할 '그림 빙의(Possession)' 기믹 대처에 활용하게 되니 꼭 효과를 기억해두도록 하자.
[차다르누크 악령]
우후후후...그림 속 여자는 내가 데려가마...
그리 쉽게 돌려보내주진 않을 거다...
이렇게 훌륭한 그림은 오랫만이군...
누구도 방해 못한다!
인스턴스에 돌입한 상태에서는 타겟팅이 불가능한 '차다르누크 여신(Chadarnook Goddess)'만 전장에 나와있는 상태인데, 가까이 다가가면 전투가 시작되며 여신 형상이 그림으로 돌아가고 대신 '차다르누크 악령(Chadarnook Demon)'이 튀어나와 전투를 진행한다.
차다르누크 악령이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공격은 전체 대상 마법 공격인 '악령의 외침(Demonic Howl)'과 적개심 1순위 대상의 강력한 마법 공격인 '악령의 참격(Demonic Shear)'이다. 특히 '악령의 참격'은 기본 공격과 같이 오기 때문에 시전이 확인되면 반드시 방어 버프를 사용해주도록 하자.
1. 악령의 외침(Demonic Howl): 전체 대상 마법 공격. 회복에 주의.
2. 악령의 참격(Demonic Shear): 적개심 1순위 대상 강력한 마법 공격. 방어 버프 필수.
[차다르누크 악령]
그림이야 말로, 나의 세계, 나의 힘이다!
자, 그림에 씌어 네놈들을 압도해주마!
차다르누크 악령이 중앙으로 이동하면 '그림 빙의(Possession)'를 사용하여 그림과 연결되게 된다. 연결되는 그림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이에 맞춰서 '초코보 붓'을 사용해 스케치의 효과를 얻어야 제대로 대처할 수 있다.
3. 그림 빙의(Possession): 전장에 놓여진 그림과 연결된 후 그 그림에 깃들어서 특수한 속성 공격을 가한다. '초코보 붓'을 사용해 대처할 것.
[차다르누크 악령]
흠, 「불꽃의 그림」이라...
불타오르는 화염으로 너희를 재로 만들어주마!
첫 번째 '그림 빙의'는 불꽃 그림(5시)로, 빙의가 끝나면 아군 전체에 강력한 화염 데미지를 주는 '악령의 화염(Demonic Fire)'을 사용한다. 따라서 모든 파티원이 '물 스케치'에 가서 초코보 붓을 사용하여 불속성 저항 버프를 얻으면 된다. 차다르누크가 그림으로 이동한 타이밍 정도까지 사용해야 데미지를 크게 안입으니 참고.
3-1. 그림 빙의 - 화염: 파티원 전체에 강력한 화염 속성 마법 데미지와 함께 받는 데미지 증가 디버프. '물 스케치'를 이용하면 데미지가 크게 경감되고 디버프를 피할 수 있다.
첫 번째 '그림 빙의'를 사용한 때부터 '차다르누크 여신'도 전장으로 내려온다. 여신 형상은 타겟팅이 불가하고 쓰러트릴 필요도 없으나, 주기적으로 서브 탱커에게 마법 판정의 기본 공격을 가하니 주의하자. 차다르누크 악령는 그림에 연결된 상태로도 주기적으로 '악령의 외침'과 '악령의 참격'을 사용하니 시전을 확인하면 꼭 적절하게 대처해주자. 적당히 전투하다 보면 '빙의 해제(Release)'를 사용해 다시 전장 중앙으로 복귀하여 '그림 빙의'를 사용한다.
4. 빙의 해제(Release): 현재 그림의 그림 빙의를 종료하고 중앙으로 복귀한다. 곧바로 다음 그림에 '그림 빙의'를 사용하니 준비할 것.
[차다르누크 악령]
「땅의 그림」은 대지의 맥동을 표현하지...
이 격진을 버텨낼 수 있을까?
두 번째 '그림 빙의'는 대지 그림(2시)으로, 빙의가 끝나면 아군 전체에 강력한 마법 공격인 '대지진(Earthquake)'을 가한다. 이 공격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에어포스 스케치'에 초코보 붓을 사용하여 에어포스에 잠시 동안 탑승해야 한다. 단, 에어포스에 탑승하는 동안에는 자동 공격 포함 다른 기술을 시전할 수 없으니 주의.
3-2. 그림 빙의 - 대지: 파티원 전체에 땅속성 마법 공격. 피격시 받는 데미지 증가 디버프. '에어포스 스케치'를 이용해 공중에 뜬 상태로 회피할 수 있다.
'대지의 그림'에 빙의하는 동안에는 랜덤 파티원 2명에게 추적 마크가 붙는데, 잠시 동안 대상자들을 따라다니는 '땅울림' 장판이 붙으니 대상자들은 아군과 떨어져서 장판을 유도해주자.
5. 땅울림: '대지의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 랜덤 파티원 2명을 대상으로 추적 장판이 발생한다. 대상자는 아군과 떨어져서 장판을 유도해주자.
[차다르누크 악령]
다음은 「물의 그림」...
모든 것을 집어 삼키는 위대한 물의 힘을 맛보아라!
세 번째 '그림 빙의'는 물 그림(10시)으로, 플랫폼 전체에 물속성 데미지를 입히는 '악령의 파도(Demonic Wave)'을 사용한다. 이를 막기 위해 '바위 스케치'를 사용해 바위를 실체화시켜서 바위 뒤에서 해일을 회피하면 된다.
3-3. 그림 빙의 - 물: 그림을 기준으로 수속성 마법 데미지와 함께 모든 대상을 밀쳐내는 '악령의 파도'공격 사용. '바위 스케치'를 사용해 바위를 방패막이로 사용하여 회피.
'물의 그림'에 빙의하는 동안에는 랜덤 파티원 5명의 위치에 물보라 장판을 발생시키는 '악령의 물보라'를 사용한다. 장판 위치가 나타나면 회피해주고, 2회 연속으로 나타나니 주의.
6. 악령의 물보라: '물의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 랜덤 파티원 5명의 위치에 물보라 장판을 생성시킨다. 장판 위치가 나타나면 회피. 장판이 두 번 나타나니 주의.
[차다르누크 악령]
폭풍이 휘몰아치는 「바람의 그림」...
네놈들 따위는 모조리 날려보낼 것이다!
네 번째 '그림 빙의'는 바람 그림(8시)으로, 플랫폼 전체에 바람 속성 구체인 '극지의 돌풍(極風)'이 깔리게 된다. 가만히 두면 잠시 후 폭발하며, 체력이 너무 높아서 때려서 없애는 것을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정해진 파티원이 '티폰 스케치'를 사용해 티폰에 탑승하여, 전용 액션인 '콧바람'으로 구체들을 날려보내서 안전지대를 확보해야 한다.
3-4. 그림 빙의 - 바람: 플랫폼 전체에 잠시 후 폭발하는 바람 구체들을 설치한다. 폭발하기 전에 '티폰 스케치'를 사용해 구체들을 밀쳐내서 안전지대를 확보하자.
여기부터는 차다르누크 악령이 추가 패턴인 '악령의 고통(Demonic Pain)'을 사용한다. 랜덤 4명의 파티원이 차다르누크 악령와 연결되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거리 비례 데미지를 크게 입게 되니 대상자들은 보스에게서 떨어져서 맞도록 하자.
7. 악령의 고통(Demonic Pain): 랜덤 파티원 4명이 차다르누크 악령와 선으로 연결된다.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강력한 거리 비례 데미지를 입으니 대상자들은 보스에게서 떨어져서 맞도록 한다.
'바람의 그림'에 빙의하는 동안에는 랜덤 파티원 1명에게 분산 데미지 공격인 '돌풍(Flash Wind)'을 사용하니, 대상자는 아군의 위치에 모여주자.
8. 돌풍(Flash Wind): '바람의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 랜덤 파티원 1명에게 분산 데미지 공격. 아군과 합류하여 다 같이 맞아주자.
다섯 번째 '그림 빙의' 부터는 차다르누크 악령이 두 개의 그림에 빙의하며, 이 때문에 속성 공격 두 가지가 동시에 오게 된다. 따라서, 스케치 역시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해 대응해야 한다. 특히, 빙의중에 사용하는 추가 패턴도 두 그림 다 사용하므로 주의하자. 이외에는 특별히 다른 패턴이 없으니 '그림 빙의' 패턴에 맞춰서 기믹을 대응해주고 차다르누크 악령을 쓰러트리도록 하자.
보상
클리어 보상으로는 '기공성 알렉산더' 시리즈와 같이 아이템 레벨 350의 장비를 교환할 수 있는 토큰을 제공한다. 2편에서 제공하는 토큰은 악세서리를 교환할 수 있는 '시그마 나사', 머리 방어구를 교환할 수 있는 '시그마 렌즈', 그리고 발 방어구를 교환할 수 있는 '시그마 디딤판'이다.
직격(Direct Hit)는 명중력을 대체, 불굴(Tenacity)은 받아넘기기를 대체하는 신 스테이터스이다.
보상 | 교환 개수 | 장비 | 마테리아 슬롯 | 능력치 | |||||
활력 | 힘 | 극대 | 의지 | 기시 | 불굴 | ||||
시그마 나사 | 1개 | 탄화규소 수호자 목걸이 | 1개 | 145 | 43 | 86 | - | - | 122 |
탄화규소 수호자 귀걸이 | 145 | 43 | 122 | - | - | 86 | |||
탄화규소 수호자 팔찌 | 145 | 43 | 86 | - | - | 122 | |||
탄화규소 수호자 반지 | 145 | 43 | - | 86 | 122 | - | |||
시그마 렌즈 | 2개 | 탄화규소 수호자 머리장식 | 2개 | 193 | 180 | - | - | 163 | 114 |
시그마 디딤판 | 2개 | 탄화규소 수호자 각반 | 2개 | 193 | 180 | - | 163 | 114 | - |
(장비) | (슬롯) | 활력 | 힘 | 극대 | 의지 | 기시 | 직격 | ||
시그마 나사 | 1개 | 탄화규소 공격대 목걸이 | 1개 | - | 135 | - | 122 | - | 86 |
탄화규소 공격대 귀걸이 | - | 135 | 86 | 122 | - | - | |||
탄화규소 공격대 팔찌 | - | 135 | - | - | 86 | 122 | |||
탄화규소 공격대 반지 | - | 135 | 122 | - | 86 | - | |||
시그마 렌즈 | 2개 | 탄화규소 학살자 헬름 | 2개 | 193 | 180 | 163 | - | - | 114 |
탄화규소 타격대 반다나 | 193 | 180 | - | 114 | 163 | - | |||
시그마 디딤판 | 2개 | 탄화규소 학살자 각반 | 2개 | 193 | 180 | 114 | - | 163 | - |
탄화규소 타격대 장화 | 193 | 180 | 114 | - | 163 | - | |||
(장비) | (슬롯) | 활력 | 민첩 | 극대 | 의지 | 기시 | 직격 | ||
시그마 나사 | 1개 | 탄화규소 유격대 목걸이 | 1개 | - | 135 | - | 122 | 86 | - |
탄화규소 유격대 귀걸이 | - | 135 | - | 86 | 122 | - | |||
탄화규소 유격대 팔찌 | - | 135 | 122 | - | 86 | - | |||
탄화규소 유격대 반지 | - | 135 | 86 | - | - | 122 | |||
시그마 렌즈 | 2개 | 탄화규소 유격대 헬름 | 2개 | 193 | 180 | - | 114 | 163 | - |
탄화규소 정찰대 반다나 | 193 | 180 | - | - | 114 | 163 | |||
시그마 디딤판 | 2개 | 탄화규소 유격대 장화 | 2개 | 193 | 180 | - | 163 | 114 | - |
탄화규소 정찰대 장화 | 193 | 180 | - | 163 | 114 | - | |||
(장비) | (슬롯) | 활력 | 지능 | 극대 | 의지 | 마시 | 직격 | ||
시그마 나사 | 1개 | 탄화규소 마술사 목걸이 | 1개 | - | 135 | - | 86 | - | 122 |
탄화규소 마술사 귀걸이 | - | 135 | 86 | 122 | - | - | |||
탄화규소 마술사 팔찌 | - | 135 | 122 | - | 86 | - | |||
탄화규소 마술사 반지 | - | 135 | - | - | 122 | 86 | |||
시그마 렌즈 | 2개 | 탄화규소 마술사 모자 | 2개 | 174 | 180 | - | 163 | - | 114 |
시그마 디딤판 | 2개 | 탄화규소 마술사 장화 | 2개 | 174 | 180 | 114 | - | - | 163 |
(장비) | (슬롯) | 활력 | 정신 | 극대 | 의지 | 마시 | 신앙 | ||
시그마 나사 | 1개 | 탄화규소 치유사 목걸이 | 1개 | - | 135 | 86 | 122 | - | - |
탄화규소 치유사 귀걸이 | - | 135 | - | - | 86 | 122 | |||
탄화규소 치유사 팔찌 | - | 135 | 122 | - | - | 86 | |||
탄화규소 치유사 반지 | - | 135 | - | 86 | 122 | - | |||
시그마 렌즈 | 2개 | 탄화규소 치유사 머리장식 | 2개 | 174 | 180 | 114 | - | - | 163 |
시그마 디딤판 | 2개 | 탄화규소 치유사 장화 | 2개 | 174 | 180 | 114 | 163 | - | - |
3. 이후의 이야기
차다르누크를 쓰러트린 모험가는 시드 일행에게 돌아와 자신들의 승리를 보고한다. 그 와중에 시드에게 기쁜 소식이 도착하는데, 빅스와 웨지의 용태가 꽤 회복되어서 용숨결 구덩이까지 응원하러 와줬다는 것. 자기는 이런 거랑 맞지 않는다며 혼자 데이터 분석을 하겠다는 네로를 남겨두고, 시드와 모험가, 알파는 빅스와 웨지를 만나러 지상으로 올라간다.
모험가 일행이 빅스와 웨지를 만나 대화를 하는 사이, 네로는 혼자서 3층과 4층의 상대를 분석하고 있었다. 특히 4층의 상대는 정공법으로 공략하기엔 너무나 변칙적인 상대라며 눈을 반짝이는 네로. 주전자에서 담아온 차를 한 모금 마신 그는, 너무나 짠 맛에 뱉어버리고 만다. 알파가 놓아둔 카드 때문인 것일까 의심하면서.
한 편, 빅스와 웨지의 회복 소식을 같이 들었던 오메가는 검증 대상에게 부여할 부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계산을 거듭한다. 그리고 그의 시선은 네로를 향하는데...
4. 영웅 난이도
차원의 틈새 오메가: 피험세계 시그마 V2.0 (영웅)
Interdimensional Rift Omega: Sigmascape V2.0 (Savage)
시그마편 영웅 난이도 레이드의 두 번째 관문. 가장 큰 차이점은 4개의 스케치에 추가로 '물감' 타일이 생겼고, 스케치를 발동하려면 올바른 색상의 물감을 묻힌 후 '초코보 붓'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어떤 색상이 올바른지는 스케치 위에 표시된 마크 색상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전장 중앙에 4가지 색상 전부를 요구하는 '세이렌 스케치'가 생겼는데, 이는 패턴 및 공략 항목에서 후술.
'그림 빙의'의 처리 난이도가 올라간 편이지만 패턴이 고정되어 있어 타임라인만 외울 수 있다면 1편보다 간단하게 느껴질 수 있는 레이드. 다만 탱커와 힐러의 부하는 크게 증가한 편이니 주의하자.
요구 역할군 스킬 목록
차다르누크의 모든 공격 타입은 마법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필수로 가져올 스킬은 몇 없다. 넉백기도 따로 없기 때문에 마법 데미지 경감 목적으로만 몇몇 스킬을 가져오면 좋다.
역할군 | 기술 | 효과 | 쿨타임 | 비고 |
적개심 1위 | 40 s | 탱커 교대 및 적개심 관리용 | ||
받는 회복 마법량 20% 상승 | 120 s | 회복용 (악령의 참격) | ||
받는 피해량 20% 감소 | 90 s | 방어용 (악령의 참격, 마지막 입맞춤) | ||
대상 공격력 10% 감소 | 60 s | 데미지 경감 (악령의 외침) | ||
대상에게 적개심 전달 | 120 s | 적개심 관리용 (서브 탱커만 사용) | ||
아군 방어력 20% 증가 | 2.5 s | 기본 버프 (힐러들 중 한 명만 사용) | ||
MP회복, 적개심 반감 | 120 s | MP회복 및 적개심 억제용 | ||
마법 회복량 20% 증가 | 90 s | 광역 회복용 (악령의 외침) | ||
적개심 상승량 억제 | 120 s | 적개심 억제용 | ||
아군 MP 회복, 적개심 반감 | 180 s | 회복 역할군 지원 및 적개심 억제용 | ||
대상의 지능/정신 10% 감소 | 120 s | 데미지 경감 (악령의 외침) | ||
적개심 상승량 억제 | 120 s | 적개심 억제용 | ||
대상 아군의 마법 방어력 20% 증가 | 150 s | 데미지 경감 (악령의 참격) |
기믹 대처용 포지션 요약
기믹 대처용 기본 표식 위치 |
A는 서브탱커가 '최후의 입맞춤' 디버프를 전달받는 위치, 그리고 B는 '플래시 웨이브' 회피 위치이자 C와 함께 지면 유도 장판을 회피하기 위해 모이는 장소이다. D는 '차다르누크 여신'가 물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하는 '물벼락' 회피 기준점
'세이렌 스케치' 사용시 역할별 처리 |
'차다르누크 여신'가 아군 전체에게 '무기력' 디버프 사용시 위와 같이 힐러 2명, 원거리 딜러 2명이 각각 4가지 색상의 물감을 묻혀와 '세이렌 스케치'를 사용하게 된다. 물감 자체는 미리 묻혀와도 무방.
사용 기술 및 기본 전략
차다르누크(Chadarnook)
[네로]
큭큭, 멋진 화실인데...재미있는 물건이 많이 있는 것 같지?
너도 「초코보 붓」으로 마음껏 즐기라고!
영웅 난이도에선 앞서 설명했다시피 '스케치' 뿐만 아니라 '물감'이라는 장치가 추가로 발생했다. 따라서, 단순히 '초코보 붓'만 사용한다고 그림이 발동하지 않으며, 올바른 색상의 물감을 사용해야 스케치의 효과를 받을 수 있게된다. 스케치의 종류와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피험세계 시그마 v.2.0 (영웅) 스케치 종류와 효과 | |||||
종류 | 물 (Water) | 에어포스 (Airforce) | 티폰 (Typhon) | 바위 (Rock) | 세이렌 (Siren) |
위치 | 동남 | 동북 | 서북 | 서남 | 중앙 |
물감 | 파란색 | 검은색 | 분홍색 | 노란색 | 4가지 전부 |
효과 | 20초간 화염 내성 증가 | 에어포스 탑승 | 티폰 탑승 ('콧바람' 사용가능) | 20초간 바위 실체화 | '용기의 찬가' 사용 (특정 디버프 제거) |
대응 기술 | 회화빙의 '불' | 회화빙의 '바위' | 회화빙의 '바람' | 회화빙의 '물' | '무기력' |
[차다르누크 악령]
크흐흐...이 그림의 여성은 이 몸이 받겠다...
그렇게 간단히 돌려줄 수 없지...
이건 꽤나 오랫만에 만난 좋은 그림이로군...
그 누구도 방해할 순 없다!
일반 난이도와 같이, 전투 시작 전에는 타겟팅이 불가능한 '차다르누크 여신(Chadarnook Goddess)'만 전장에 나와있는 상태인데, 가까이 다가가면 전투가 시작되며 여신 형상이 그림으로 돌아가고 대신 '차다르누크 악령(Chadarnook Demon)'가 튀어나와 전투를 진행한다. 보통 초읽기 후 프리 캐스팅을 하는 편인 캐스터들은 사실상 차다르누크 악령이 튀어나올 때까지 캐스팅이 불가능하니 주의하자.
차다르누크 악령는 일반 난이도와 같은 기본 공격인 '악령의 외침(Demonic Howl)'과 '악령의 참격(Demonic Shear)'을 사용한다. '악령의 외침'은 약 25,000가량의 마법 속성 광역 공격이니 쿨마다 경감기 및 보호막 작업을 해주는 것이 좋다. '악령의 참격'은 역시 적개심 1순위 대상자에게 사용하는 마법 공격으로, 데미지가 많이 늘어났으니 생존기 사용에 주의하자.
1. 악령의 외침(Demonic Howl): 전체 대상 마법 공격. 회복에 주의.
2. 악령의 참격(Demonic Shear): 적개심 1순위 대상 강력한 마법 공격. 방어 버프 필수.
[차다르누크 악령]
그림이야 말로, 나의 세계, 나의 힘이다!
자, 그림에 씌어 네놈들을 압도해주마!
위와 같은 대사와 함께 '차다르누크 악령'와 '차다르누크 여신'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두 유령은 '회화빙의(Possesion)'를 사용한다. 영웅 난이도의 가장 큰 특징으로, '차다르누크 여신'도 빙의 패턴을 사용하며, 악령과는 그림별로 패턴이 달라지니 주의해야만 한다.
3. 그림 빙의(Possession): 전장에 놓여진 그림과 연결된 후 그 그림에 깃들어서 특수한 속성 공격을 가한다. '초코보 붓'을 사용해 대처하며, 일반 난이도와 달리 '차다르누크 여신'도 사용하므로 주의.
[차다르누크 악령]
흠, 「불꽃의 그림」이라...
불타오르는 화염으로 너희를 재로 만들어주마!
첫 번째 '회화빙의'는 '악령'이 불 그림, '여신'이 바람 그림에 빙의하게 된다. 악령의 불 그림 사용효과는 일반 난이도에서도 보았던 '플래시 파이어(Flash Fire)'으로, 모든 파티원은 '물 스케치'를 사용하여 화염 내성 증가 디버프를 얻어놔야 한다.
여신의 바람 그림 사용효과는 '플래시 윈드(Flash Wind)'로, 전장 중앙에 거대한 폭풍 장판이 발생한다. 여기엔 쉐어 징표 마크가 발생하는데, 다 같이 맞아서 처리할 경우 최소 6명 이상이 모여서 맞아야 하며, 아무도 맞지 않을 경우 대폭발하여 전멸한다. '플래시 윈드'는 전투 중 딱 두 번 등장하게 되는데, 보통은 서브탱커가 무적기를 사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플래시 파이어(Flash Fire): 악령의 불 그림 회화빙의 효과. 전체 대상 화염 속성 마법 공격. '물 스케치'를 사용하지 않으면 즉사.
5. 플래시 윈드(Flash Wind): 여신의 바람 그림 회화빙의 효과. 중앙에 쉐어 장판 발생. 한 명 이상 맞아야 사라지며, 아무도 안맞을시 전멸. 보통 서브 탱커의 무적기로 처리한다.
이 때부터 '차다르누크 여신'도 평타를 사용해 서브 탱커를 공격하니 힐러진은 메인 탱커와 서브 탱커의 HP를 같이 신경써주자.
[차다르누크 여신]
갈 곳 잃은 영혼들이여...
이 어리석은 자들의 영혼을 먹어치우세요...!
차다르누크 여신는 랜덤 힐러 1명을 대상으로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를 사용한다. 낫을 든 유령이 나타나 힐러와 선으로 연결되는데, 유령은 대상자가 바라보지 않을 때 천천히 대상자를 향해 이동하다가, 가까워지면 즉사 공격을 하게된다. 따라서 '폴터가이스트' 대상자는 유령을 바라볼 수 밖에 없는데, 여기에다 차다르누크 여신이 시선 공격인 '여신의 유혹(Divine Lure)'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폴터가이스트' 대상자 힐러는 차다르누크 여신이 '여신의 유혹'을 시전 완료할 때까지 유령을 마주보다가, '여신의 유혹' 시전이 완료되는 시점에 뒤로 돌아서 유혹 상태와 '폴터가이스트'를 피해야 한다.
'여신의 유혹' 시전이 끝나고 폴터가이스트 대상자는 다시 유령을 바라봐주자. 폴터가이스트는 '여신의 유혹'이 끝나고 3~4초 후에 해제된다.
6.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 랜덤 힐러 1명에게 선으로 연결된 유령 발생. 유령은 대상자가 바라보지 않을 때 천천히 대상자에게 이동하다가 가까워지면 즉사 공격을 사용한다.
7. 여신의 유혹(Divine Lure): 차다르누크 여신이 사용하는 시선 공격. 시전이 완료되었을 때 대상을 바라보게 되면 천천히 여신을 향해 이동하게 되니 주의.
'폴터가이스트' 및 '여신의 유혹' 처리 |
1) 폴터가이스트가 나타나면 일단 대상자는 유령을 바라보는 상태로 유지. |
2) 여신이 '여신의 유혹'을 시전 완료할때쯤 뒤로 돌아서 회피. |
'여신의 유혹' 시전이 완료되면 차다르누크 악령는 '악령의 고통(Demonic Pain)'을 사용한다. 일반 난이도와 같이 연결된 대상자들은 선이 보라색 줄로 바뀔때까지 멀어지면 되는데, 영웅 난이도에서는 처리 실패시 대상자에게 강력한 광역 공격이 오기 때문에 주변 파티원들까지 즉사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따라서, 근접 딜러라도 일단 연결된 것이 확인되면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멀리 떨어져주자.
8. 악령의 고통(Demonic Pain): 랜덤 파티원 4명이 2명씩 선으로 연결된다. 서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지 않으면 즉사급 넓은 범위 데미지를 입으니 대상자들은 확실하게 떨어져서 맞아준다.
어느정도 패턴을 사용하면 차다르누크 악령는 '빙의 해제(Release)'를 사용하고 다시 한 번 '그림 빙의'를 사용한다.
9. 빙의 해제(Release): 현재 그림의 그림 빙의를 종료하고 중앙으로 복귀한다. 곧바로 다음 그림에 '그림 빙의'를 사용하니 준비할 것.
[차다르누크 악령]
폭풍이 휘몰아치는 「바람의 그림」...
네놈들 따위는 모조리 날려보낼 것이다!
두 번째 그림 빙의는 '악령'이 바람 그림, '여신'이 대지 그림에 빙의하게 된다. 우선, 플랫폼 전체에 '극풍(Easterly)'이라는 깃털들이 발생하고, 모든 파티원 대상으로 '견고한 바위(Rock Hard)' 장판이 생성되게 된다. '견고한 바위' 장판은 모든 파티원이 한 지점(A 또는 C)마크에 모여서 빼 주도록 하고, '극풍'의 경우 서브 힐러가 분홍색 물감 → 티폰 스케치를 사용해 티폰에 탑승하여 C 마크 위치의 극풍을 콧바람으로 밀어내서 안전지대를 확보하도록 한다.
특히, '견고한 바위' 사용 후 차다르누크가 바로 '악령의 참격'을 사용하니 메인 힐러는 탱커가 급사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10. 극풍(Easterly): 악령이 바람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하는 패턴. 모든 플랫폼에 '극풍'이라는 깃털들이 발생하고, 잠시 후 폭발하여 즉사급 데미지를 입힌다. 서브 힐러가 티폰 스케치를 사용해 C 마크 위치의 극풍을 밀쳐내서 안전지대를 확보한다.
11. 견고한 바위(Rock Hard): 여신이 대지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하는 패턴. 모든 파티원 위치에 넓은 원형 장판이 생성된다. 보통 A 혹은 C 위치에 모든 파티원이 모여서 유도한 후 회피해준다.
[차다르누크 여신]
이것은 달콤하고도 슬픈 죽음의 약속...!
'극풍'이 폭발하고 나면 차다르누크 여신이 랜덤 딜러 1명에게 '최후의 입맞춤(The Last Kiss)'을 사용한다. 이 디버프는 잠시 후 대상자에게 강력한 데미지를 입히는데, 다른 파티원과 겹치면 디버프를 넘길 수 있다. 데미지는 보통 탱커가 생존기를 사용해야만 살아남을 정도이므로, 모든 파티원이 약산개를 하여 디버프 대상자를 확인한 후 서브탱커에게 디버프를 넘겨서 처리한다. 서브탱커는 철벽 방어 + 인스턴트 생존기를 사용해야 안전하게 넘길 수 있으니 주의. 특히 파티원이 너무 가깝게 모여있으면 사고가 정말 잘 나는 편이니 이 타이밍엔 반드시 약산개를 해주도록 한다.
12. 최후의 입맞춤(The Last Kiss): 랜덤 딜러 1명에게 '최후의 입맞춤' 디버프를 부여한다. 파티원끼리 겹치면 디버프가 넘어가며, 잠시 후 폭발하여 디버프 대상자에게 큰 데미지를 준다. 반드시 서브탱커에게 넘겨서 처리한다.
이후엔 1 페이즈에서도 보여줬던 폴터가이스트 → 여신의 유혹 패턴을 사용하며, 이것이 악령의 외침 + 악령의 참격과 조합된다. '여신의 유혹'이 끝날때쯤 차다르누크 악령는 랜덤 파티원 1명에게 '악령의 폭풍(Demonic Storm)'을 사용한다. 이것은 단순한 쉐어 징표 공격이니 모든 파티원이 모여서 맞아주면 된다.
13. 악령의 폭풍(Demonic Storm): 랜덤 파티원 1명에게 쉐어 판정 마법 공격. 모든 파티원이 모여서 맞아준다.
잠시 후 차다르누크는 다시 '빙의 해제'를 사용하고 다음 페이즈로 넘어간다.
[차다르누크 악령]
「땅의 그림」은 대지의 맥동을 표현하지...
이 격진을 버텨낼 수 있을까?
세 번째 그림 빙의부터는 차다르누크 악령이 그림 빙의를 두 그림씩 사용한다. 세 번째 빙의는 악령이 불 그림 + 대지 그림이며, 여신이 물 그림에 빙의한다. 악령의 두 그림의 효과인 '플래시 파이어'와 '대지진(Earthquake)'이 같이 오는데, 이 때문에 모든 파티원이 파란 물감 → 물 스케치 → 검은 물감 → 에어포스 스케치를 사용하여 화염 내성 버프 + 에어포스 탑승 상태가 되어야 패턴을 넘길 수 있다.
여신의 물 그림 빙의 효과는 '몰아치는 급류(Flash Torrent)'로, 넓은 범위의 수속성 장판 공격이며 안전 지대는 다음과 같이 D 징표와 C 징표를 기준으로 그림 근처 범위이다. 중앙에도 안전지대 범위가 있긴 하지만, 판정이 애매하기 때문에 이 위치에 서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몰아치는 급류(Flash Torrent)' 안전지대 |
14. 대지진(Earthquake): 악령이 땅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 전체 플랫폼 대상으로 땅속성 즉사급 마법 공격. 에어포스 스케치를 사용해 공중에 뜸으로서 피할 수 있다.
15. 몰아치는 급류(Flash Torrent): 여신이 물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 그림을 기준으로 넓은 사각형 범위 물속성 마법공격. 그림 근처로 붙어서 피해준다.
[차다르누크 악령]
화가는 자신의 창의성을 발휘해, 현실을 그림 속에 담아낸다...
그렇다면, 그림 속에 담긴 것을 다시 현실로 풀어낸다면 어떨까...!
차다르누크 악령는 위 대사와 함께 '실체화(Materialize)'를 사용한다. '실체화'가 시전되면 불 그림에도 '악령의 그림자(Haunt)'가 나타난다. 악령의 그림자는 쓰러트릴 필요는 없지만, 차다르누크 악령와 똑같이 기본 패턴들을 사용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16. 실체화(Materialize): 다른 그림에 '악령의 그림자'가 생성되어 특정 패턴을 사용한다. 따로 쓰러트리거나 탱킹할 필요는 없지만 패턴이 두 배로 늘어나는 것과 같은 효과니 주의.
[차다르누크 여신]
저항 따위 무의미하나니...
운명을 받아들이고, 그 육신을 죽음에게 맡기시길...!
'실체화' 직후, 차다르누크 여신는 위 대사와 함께 모든 파티원에게 '무기력(Apathetic)' 디버프를 부여한다. 이 디버프는 대상자의 TP와 MP를 0으로 만들고, 받는 회복 효과를 무효화시키는 강력한 디버프로, 이후 곧바로 '악령의 외침'이 오기 때문에 가만히 두게되면 전멸 확정이다. 따라서, 정해진 파티원이 각각 4가지 색상의 물감을 묻혀와서 중앙의 세이렌 스케치를 발동시켜야 한다.
세이렌 스케치를 발동하면 세이렌이 실체화되어 '용기의 찬가(Lullaby)'를 사용해 '무기력' 디버프를 해제하고 MP와 TP를 최대치로 회복시켜준다.
17. 무기력(Apathetic): 모든 파티원에게 부여하는 디버프. TP/MP가 0이 되고 받는 회복 마법 효과가 무효화된다. '세이렌 스케치'를 발동하여 디버프를 해제할 수 있다.
'무기력' 디버프를 처리하면 곧바로 '악령의 외침'과 '악령의 참격'이 오니 힐러들은 주의하자. 그리고 차다르누크 악령이 '악령의 바위(Demonic Stone)'를 사용한다. '악령의 바위'는 랜덤 딜러 2명에게 표식이 생기며 추적하는 마법 데미지 장판이 발생하게 되는데, 다른 파티원이 맞거나 다른 대상자가 겹치지 않도록 대상자들은 플랫폼 외각을 빙 돌면서 장판을 유도해주자.
악령의 바위(Demonic Stone) 처리 |
대상자는 플랫폼 외각을 돌면서 추적하는 장판을 유도해준다. (다른 대상자와 겹치지 않도록 주의) |
18. 악령의 바위(Demonic Stone): 랜덤 딜러 2명을 대상으로 추적하는 장판 생성. 대상자들은 플랫폼 외각을 돌면서 장판을 유도해준다. 다른 대상자와 겹치거나 다른 파티원이 맞지 않도록 주의.
네 번째 페이즈의 '그림 빙의'는 악령의 바람 + 물 그림이며, 여신이 대지 그림에 빙의한다. 악령의 '물 그림' 빙의 효과는 '악령의 파도(Demonic Wave)'로, 메인 힐러가 '바위 스케치'를 사용하면 B 위치에서 회피하게 된다. 총 세 가지 '빙의' 패턴이 오는 순서는 견고한 바위 → 악령의 파도 → 극풍 폭발 순서로, C 위치에서 '견고한 바위' 장판을 유도하고 B 위치로 이동해 '악령의 파도'를 회피, 그 후 서브 힐러가 티폰 스케치를 이용해 극풍이 폭발하기 전에 C 위치의 극풍을 밀어내면 된다.
19. 악령의 파도(Demonic Wave): 차다르누크 악령이 물 그림에 빙의했을 때 사용하는 기술. 전체 플랫폼에 강력한 물속성 마법 공격을 가하며, '바위 스케치'를 사용해 바위 뒤로 회피해야만 생존할 수 있다.
4페이즈에서는 차다르누크 악령이 '실체화'를 사용한 후 '악령의 분수(Demonic Spout)'를 사용한다. 이는 '견고한 바위'와 비슷하게 모든 파티원에게 오는 유도 장판 공격으로, 2회 연속으로 온다는 것이 유일한 차이점이다. 따라서, 모든 파티원이 B → C → B 순서로 이동하면서 장판을 유도해주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악령의 분수'때 '악령의 폭풍'도 같이 오므로 모든 파티원이 다 같이 움직이는 것은 필수.
20. 악령의 분수(Demonic Spout): '견고한 바위'와 비슷한 모든 파티원 대상 유도 장판 패턴. 2회 연속으로 오므로 모든 파티원이 일정 위치에서 유도해준다.
5~6페이즈는 지금까지 보여주었던 패턴의 반복으로, 5페이즈는 악령의 대지+불 그림에 빙의하고 여신이 바람 그림에 빙의하며, '플래시 윈드'가 한번 더 오기 때문에 서브탱커가 무적기를 잘 아껴두는 것이 중요하다. 6페이즈는 악령이 바람+물 그림에 빙의하고 여신이 대지 그림에 빙의한다.
총 전투시간은 10분 30초로, 10분 20초에 차다르누크 악령이 10초짜리 캐스팅 스킬인 '악령의 외침'을 시전하여 모든 파티원이 전멸하게 된다. 아이템 레벨 350 기준 중간에 사망자가 없다면 보통 6페이즈 초입 정도에 보스를 쓰러트리게 되며, 사망자가 발생하면 전투 시간이 빠듯해지니 주의.
공략
여러모로 광역기가 많이 오기 때문에 힐러의 부하가 매우 높은 편. 힐러들은 광역힐 및 보호막 작업 타이밍을 신중히 조정하고, 탱커진도 공대 생존기 및 '앙갚음' 타이밍을 같이 조절해주는 것이 좋다. 딜러는 일반 난이도와 거의 차이가 없는 운용을 한다는 점에서 꽤 극명한 차이를 보여주는 레이드.
공략 영상(Loki Yamato, 탱커 시점, 일본어 설명)
공략 영상(MTQ Capture, 탱커 시점, 영어 설명)
1 페이즈(악령: 불 /여신: 바람)
(전투 개시) → 악령의 외침 → 악령의 참격 → 그림 빙의(불/바람) → 플래시 파이어 → 플래시 윈드 → 악령의 외침 → 폴터가이스트 → 악령의 참격 → 여신의 유혹 → 악령의 외침 → 악령의 고통 → 악령의 외침 → 빙의 해제 → (다음 페이즈로)
전투 개시 전에 모든 파티원이 파란 물감을 묻힌 상태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필드에 나와있는 차다르누크 여신에게 다가가면 전투가 시작된다. 이 때, 차다르누크 악령이 나오기 전까지 타겟팅이 완전히 불가능하므로, 전투 시작전 미리 캐스팅을 할 수가 없다는 점은 주의. 차다르누크 악령이 튀어나오면 바로 '악령의 외침'을 시전하므로, 전투 시작전에 모든 파티원에게 보호막 작업을 해주면 좋다.
메인 탱커에게 '악령의 참격' 사용 후 차다르누크는 그림 빙의를 사용한다. '플래시 파이어'를 대비하기 위해 물 스케치를 사용해야 하며, 근접 딜러의 경우 그림 빙의 캐스팅이 70~80%정도 완료되었을 때 사용하면 딜로스를 줄일 수 있다. 물 스케치를 사용했다면 플래시 파이어는 광역 5,000정도의 데미지이므로 가벼운 광역 보호막 정도로도 커버할 수 있다.
'플래시 윈드' 회오리의 경우, 서브 탱커가 나이트라면 천하무적을 사용해 혼자 버티는 식으로 모든 파티원의 딜로스를 줄일 수 있다. 행여 암흑기사/전사 조합이라면 암흑기사가 산송장을 써서 버티게 된다. 이후 '악령의 외침'이 바로 오게 되므로 힐업에 주의하자.
'폴터가이스트' → '여신의 유혹' 패턴은 위 항목에서도 설명했듯이 대상자 힐러가 신경써서 처리해주자. 타이밍을 익히기가 정 힘들다면 연결된 유령을 계속 바라봐서 '여신의 유혹'만 당하고 유령이 다가오는 걸 막는 방법도 있지만, 파트너 힐러가 '악령의 외침'을 처리하기 대단히 힘들어지니 주의. '악령의 고통' 패턴은 연결된 대상자들끼리 처리하되, 왠만하면 근접 딜러가 계속 공격을 할 수 있도록 힐러/탱커/원거리 딜러들이 보조해주는 편이 좋다.
서브 탱커는 기피를 가져와서 빙의 해제 → 그림 빙의 캐스팅 때 도발 + 기피를 사용해 메인 탱커의 적개심을 높게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2 페이즈(악령: 바람 /여신: 대지)
그림 빙의(바람/대지) → 극풍 생성 + 견고한 바위 → 악령의 참격 → 극풍 폭발 + 악령의 외침 × 2 → 최후의 입맞춤 → 악령의 외침 → 폴터가이스트 → 악령의 참격 → 여신의 유혹 → 악령의 폭풍 → 악령의 외침 → 빙의 해제 → (다음 페이즈로)
두 번째 그림 빙의 패턴에서는 '극풍'과 '견고한 바위'가 오므로, '극풍'을 처리할 서브힐러는 미리 분홍 물감을 묻혀오고, 나머지 파티원들과 함께 C징에서 대기한다. '견고한 바위' 장판이 표시되면 B징으로 회피하며, 서브 힐러는 티폰 스케치를 사용한 후 C 징표 근처의 '극풍'을 다른 방향으로 밀어내준다.
극풍이 폭발하고 '악령의 외침'이 두 번 온 후, 랜덤 딜러에게 '최후의 입맞춤' 디버프가 발생하니, 딜러진들은 약산개를 하여 디버프를 파악하고, 디버프 대상자는 서브 탱커에게 이동해서 디버프를 넘겨주자. 서브 탱커는 철벽 방어 + 인스턴트 생존기(방벽/흑야/원초의 혼)를 사용해 버텨준다.
'최후의 입맞춤'이 끝나면 다시 '악령의 외침'과 '폴터가이스트', '악령의 참격', '여신의 유혹' 순으로 패턴이 오니 힐업에 주의하자.
'악령의 폭풍'은 단순한 쉐어 징표 공격이니 모든 파티원이 차다르누크 근처에 모여서 맞아주도록 하자.
3 페이즈(악령: 대지&불 /여신: 물)
그림 빙의(대지&불/물) → 플래시 파이어 + 대지진 → 몰아치는 급류 → 실체화 → 악령의 고통 → 무기력 → 악령의 외침 × 2 → 악령의 참격 → 악령의 바위 → 최후의 입맞춤 → 악령의 외침 → 빙의 해제 → (다음 페이즈로)
세 번째 그림 빙의는 파란 물감(물 스케치) + 검은 물감(에어포스 스케치)을 사용한 후 대지 그림 근처에서 대기하게 된다. 바로 '몰아치는 급류'가 오므로 절대 그림에서 떨어지지 말고 그림 근처 안전지대에서 대기해주는 것이 좋다.
'몰아치는 급류'까지 처리하면 대사와 함께 '실체화'를 시전하는데, 물감 담당 힐러와 딜러들은 이 타이밍에 미리 물감 색을 바꿔오는 것이 좋다. 특히 딜러들은 DPS에 집중하다가 늦을 수 있으니 탱커나 힐러가 콜을 해주는 것이 좋다.
'악령의 고통' 이후 차다르누크 여신의 대사와 함께 '무기력' 디버프가 시전되며, 정해진 파티원들은 이 타이밍에 맞춰 '세이렌 스케치'를 발동시켜주자. 이 때, 초코보 붓을 한 명이 너무 일찍 사용하면 스케치가 발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니, '악령의 고통' 처리 직후 타이밍에 다같이 사용해주는 것이 좋다. '세이렌 스케치'의 '용기의 노래'가 발동되면 모든 파티원의 MP와 TP가 복구되기 때문에, 3페이즈까지는 걱정 없이 MP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후 '악령의 외침'이 두 번 오므로, 힐러들은 힐업에 주의하자. 탱커진은 공대 생존기를 이 타이밍에 써주는 걸 추천.
'악령의 바위' 패턴의 경우 랜덤 딜러가 걸리고 무조건 대상자 위치를 따라다니며 장판이 발생하니, 징표가 찍히면 대상 딜러들은 미련 없이 바깥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자. 괜히 한 대라도 더 치려다가 아군이 죽거나 본인이 죽게 되면 손해.
4 페이즈(악령: 바람&물 /여신: 대지)
그림 빙의(바람&물/대지) → 견고한 바위 + 극풍 생성 → 악령의 파도 → 악령의 외침 → 극풍 폭발 → 실체화 → 악령의 분수 + 악령의 폭풍 → 악령의 분수 → 악령의 외침 → 악령의 고통 → 최후의 입맞춤 → 악령의 파도 → 악령의 외침 → 악령의 참격 → 빙의 해제 → (다음 페이즈로)
2페이즈와 비슷하게 C 마커에서 시작하지만, 회화빙의(물) 패턴 때문에 한 사람이 노란 물감으로 바위 스케치를 발동하고 시작해야 한다. 특히, '악령의 파도'때 근접 딜러들이 보스를 치겠다고 아슬아슬하게 바위에서 빠져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매우 높은 확률로 파도를 맞고 즉사하니 주의. 1글쿨 정도 손해를 본다고 생각하고 페이즈를 넘기자. '극풍' 처리는 2페이즈와 같이 서브 힐러가 처리한다.
'악령의 외침'을 시전한 후 실체화 → 악령의 분수 x 2 패턴을 사용하는데, 이 때 모여서 맞는 '악령의 폭풍'도 같이 오니 모든 파티원이 C → B → C 식으로 이동해서 장판을 빼주자. 이후엔 거의 2페이즈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5 페이즈(악령: 대지&불 /여신: 바람)
그림 빙의(대지&불/바람) → 플래시 파이어 + 대지진 → 플래시 윈드 + 악령의 외침 → 악령의 참격 → 실체화 → 악령의 바위 → 폴터가이스트 → 악령의 외침 + 여신의 유혹 → 악령의 참격 → 악령의 고통 → 악령의 외침 → 빙의 해제 → (다음 페이즈로)
이 페이즈는 대처 자체는 3페이즈와 비슷하나, '플래시 윈드'가 온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생성 위치가 북서쪽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서브 탱커는 미리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하는 것이 좋다. 무적기 쿨타임이 가장 긴 나이트라도 이 타이밍에 1페이즈에서 사용했던 천하무적 쿨타임이 도므로, 이에 대해선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처음에 '플래시 윈드' 대처만 제외하면 3페이즈와 같이 처리하면 된다. 6페이즈는 전멸 페이즈이므로, 이 페이즈까지 최대한 HP를 깎아주는 것이 핵심.
6 페이즈(악령: 바람&물 /여신: 대지)
그림 빙의(바람&물/대지) → 견고한 바위 + 극풍 생성 → 악령의 파도 → 악령의 외침 → 극풍 폭발 → 실체화 → 악령의 외침(전멸)
4페이즈와 완전히 초반 대처가 똑같다. 따라서 4페이즈와 똑같이 처리하되, '실체화'후 바로 전멸기인 10초짜리 '악령의 외침'을 시전하기 때문에 이 페이즈 돌입부에서 HP 5% 이하를 봐야 넉넉히 클리어할 수 있다. 리미트 브레이크는 1단이 추가로 차자마자 넣어주거나, 혹은 전멸기 직전에 넣어주자. 전멸기를 시전하기 전에 차다르누크 악령을 쓰러트리면 클리어.
보상
공략 보상으로는 370레벨 방어구를 교환 가능한 '시그마 데이터로그 2.0'을 1개씩 모든 파티원에게 제공하며, 보물상자에서 370레벨 다음 표의 방어구가 최대 2개 등장한다. 또한 허구 석판 무기를 교환할 수 있는 '시험작 석판(Prototype tombstone)'과, 허구 석판 악세서리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용맥의 경화약(Ryumyaku Polish)'을 1개 입수할 수 있다.
보상 | 낱장 개수 | 마테리아 슬롯 | 능력치 | |||||
활력 | 힘 | 극대 | 의지 | 기시 | 불굴 | |||
다이아몬드 수호자 투구 | 6개 | 2개 | 217 | 198 | 125 | - | - | 178 |
다이아몬드 수호자 정강이받이 | 217 | 198 | - | - | 125 | 178 | ||
(낱장) | (슬롯) | 활력 | 힘 | 극대 | 의지 | 기시 | 직격 | |
다이아몬드 학살자 팔보호대 | 6개 | 2개 | 217 | 198 | 125 | 178 | - | - |
다이아몬드 학살자 정강이받이 | 217 | 198 | 178 | - | - | 125 | ||
다이아몬드 타격대 머리띠 | 217 | 198 | 125 | 178 | - | - | ||
다이아몬드 타격대 부츠 | 217 | 198 | - | 125 | - | 178 | ||
(낱장) | (슬롯) | 활력 | 민첩 | 극대 | 의지 | 기시 | 직격 | |
다이아몬드 유격대 건틀렛 | 6개 | 2개 | 217 | 198 | - | - | 178 | 125 |
다이아몬드 유격대 부츠 | 217 | 198 | - | 125 | - | 178 | ||
다이아몬드 정찰대 머리띠 | 217 | 198 | 178 | 125 | - | - | ||
다이아몬드 정찰대 건틀렛 | 217 | 198 | - | 125 | 178 | - | ||
(낱장) | (슬롯) | 활력 | 지능 | 극대 | 의지 | 마시 | 직격 | |
다이아몬드 마술사 장갑 | 6개 | 2개 | 195 | 198 | - | - | 178 | 125 |
다이아몬드 마술사 부츠 | 195 | 198 | 178 | - | 125 | - | ||
(낱장) | (슬롯) | 활력 | 정신 | 극대 | 의지 | 마시 | 신앙 | |
다이아몬드 치유사 장갑 | 6개 | 2개 | 195 | 178 | - | 178 | 125 | - |
다이아몬드 치유사 부츠 | 195 | 198 | - | 125 | 178 | - |

